본문 바로가기
마케터 인사이트/책과 영상에서

전문가처럼 서평 쓰려면 어떻게 생각하고 써야할까?

by 블코 bluebyco 2024. 6. 18.
728x90
반응형

 

요즘 글쓰기에 관심이 더욱 많아졌다. 직장생활을 하며, 나의 블로그를 작성하거나 인스타그램 캡션에 들어가는 간단한 문장 조차도 글을 많이 써본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은 다르단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글을 쓰면 쓸수록 나도 잘 쓰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이전에도 [글 잘 쓰는 방법], [효과적인 글쓰기] 등을 검색하곤 했다. 그러나 실제로 실천하는 것은 모두 나한테 달린 것이니, 이제서야 제대로 바라보게 된다.

 

© nickmorrison, 출처 Unsplash
서평
독후감
주관적 감상과 객관적 가치 평가의 성격
개인적인 감상
논리적으로 설명, 설득
책을 읽은 감상

서평이 독후감보다 작성하기에 까다롭고 어렵고 개인의 생각이 많이 들어간다. 더불어 서평은 객관적인 요약 및 정보가 있어야할 뿐더러 주관적인 감상이 함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서평을 쓸 때는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이 '나'의 생각과 '사회'의 생각, '우리'의 관점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기에 서평을 쓸 때 전문적인 칼럼리스트는 여러번 독서한다고 한다.

 

© lilartsy, 출처 Unsplash
서평 잘 쓰기

 

1. 과정

창조적ㆍ비판적 독서 ⇨ 내용 요약하기 ⇨ 저자와 생각 비교하기 ⇨ 서평 쓰기

 

완독을 하고 서평을 바로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생각을 가진 후에 서평을 써야한다. 독서할 때도 무조건 받아들이는 수용적인 태도보다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생각으로 '생각의 다름'을 일깨우며 읽어야한다. 서평을 작성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독서하게 되면 더욱 확장된 사고를 가질 수 있겠다.

 

2. 구성

① ‘처음’ : 책이 나오게 된 배경, 책이 문제 삼는 내용, 자신의 주관적 판단과 기준을 제시, 글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 밝힌다.

② ‘중간’ : 책의 구성과 내용을 일관된 기준과 논리적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일정한 기준과 순서를 토대로 전편에 걸쳐 지속되는 저자의 입장을 분석하고 그에 대해 평가한다.

③ ‘끝’ :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책이 지닌 의의와 한계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정리한다.

 

3. 독서의 맥락

책을 읽는 입장 또는 책을 읽는 맥락은 이해를 위한 독서, 비판적 독서, 창조적 독서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해를 위한 독서

자신을 저자의 입장에 위치해 놓고 글을 읽는 방법

 

비판적 독서

문장 하나하나에서부터 논리적 일관성과 견해의 타당성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비판적 입장에서 읽어보는 것

 

창조적 독서

책의 내용이나 흐름과는 무관하게, 평소 흥미 있는 것들이나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에 대해 고민한다.

 

서평 잘 쓰기에 대한 나의 서평
 

나는 독서를 많이 하면 자동으로 글을 잘 써지게 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읽기를 많이 한다고 해서 내가 노력하지 않으면 쓰기는 당연히 비례할 수가 없다. 서평과 독후감에 대한 차이점도 확실하게 이야기할 수 없었다. 서평이라는 단어 자체가 더 전문적으로 느껴졌기 때문에, 뭔가 두루뭉실하게 어렵다고만 생각한 것 같다.

 

서평을 잘 쓰기 위해서는 독서를 잘 해야한다. 수동적인 자세로 모두 포용하지 말고, 그렇다고 해서 너무 비판적인 사고를 가지지도 않아야 한다. 책에는 여러 분야가 있는데 한 분야를 읽고 다른 분야에게도 초점을 맞춰볼 수 있도록 하는 창조적 독서를 더 열심히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비판적 독서를 하려면 내가 기본적으로 알고있는 것이 많아야한다. 확실하게 아는 것이 있어야 나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비판적인 사고가 생기니 말이다. 그래서 서평이 어렵게만 느껴진다.

 

서평을 잘 쓰는 방법에도 책의 모든 내용을 작성하려 하지 말고 감명깊거나 꼭 적고 싶은 키워드 한개만 주제를 잡아서 작성해야 한다고 한다. 내가 브랜드 마케팅을 할 때도 주제 하나, 키워드 한두개 꼭지를 크게 잡고 그리고 나무치기를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이 든다.

 

© christinhumephoto, 출처 Unsplash

 

728x90
반응형

댓글